[관세론]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학기 관세론 C형)비관세 장벽에 대해 논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07:32
본문
Download : 관세론-무역비관세장벽[2].hwp
Download : 관세론-무역비관세장벽[2].hwp( 18 )
1. 비관세장벽의 특징
-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학기 무역학과 4학년 관세론 C형 참고data(資料)입니다
한편 WTO나 UNCTAD에 의한 비관세 장벽에 대한 정의(定義)는 두 기구 모두 현재 국제무역을 주도하는 국제기구이기 때문에 비관세 장벽에 대한 인식도 거의 비슷하다. 이들 두 국제기구의 비관세 장벽에 앞에서 analysis한 학자들의 정의(定義)와는 다르고 사전적 의미와 같은, 실제로는 국제무역을 왜곡시키고 있는 무역제한조치를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타당성이 있는 반면에 비관세장벽의 theory(이론)적인 면을 등한시 한 경향이 있따
Ⅱ. 본 론
3. 수출 촉진적 비관세장벽
Ⅰ. 비관세 장벽의 의의
☞ 윤영자, 「국제무역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관세론]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학기 관세론 C형)비관세 장벽에 대해 논함.
- 방통대 2010-1학기 무역학과 4학년 관세론 C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 이균, 「관세론」, 박영사, 2001 [자료1] ☞ 정영희‧김조성, 「무역학 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995 ☞ 김종성, 「국제무역론 II」,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3 ☞ 윤영자, 「국제무역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2
![관세론-무역비관세장벽[2]-580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A%B4%80%EC%84%B8%EB%A1%A0-%EB%AC%B4%EC%97%AD%EB%B9%84%EA%B4%80%EC%84%B8%EC%9E%A5%EB%B2%BD%5B2%5D-5807_01.gif)
![관세론-무역비관세장벽[2]-580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A%B4%80%EC%84%B8%EB%A1%A0-%EB%AC%B4%EC%97%AD%EB%B9%84%EA%B4%80%EC%84%B8%EC%9E%A5%EB%B2%BD%5B2%5D-5807_02_.gif)
![관세론-무역비관세장벽[2]-5807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A%B4%80%EC%84%B8%EB%A1%A0-%EB%AC%B4%EC%97%AD%EB%B9%84%EA%B4%80%EC%84%B8%EC%9E%A5%EB%B2%BD%5B2%5D-5807_03_.gif)
![관세론-무역비관세장벽[2]-5807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A%B4%80%EC%84%B8%EB%A1%A0-%EB%AC%B4%EC%97%AD%EB%B9%84%EA%B4%80%EC%84%B8%EC%9E%A5%EB%B2%BD%5B2%5D-5807_04_.gif)
![관세론-무역비관세장벽[2]-5807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A%B4%80%EC%84%B8%EB%A1%A0-%EB%AC%B4%EC%97%AD%EB%B9%84%EA%B4%80%EC%84%B8%EC%9E%A5%EB%B2%BD%5B2%5D-5807_05_.gif)
Ⅲ. 자유무역을 위하여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data(資料)] ☞ 이균, 「관세론」, 박영사, 2001 [data(資料)1]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출판부, 1992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995
비관세장벽, 비관세장벽에대한고찰, 관세론, 무역학과
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학자들 및 국제기구들에 의한 비관세장벽의 정의(定義)를 고려하여 비관세장벽을 정의(定義)하여 본다면 비관세장벽이란 무역을 행하는 국가들에 있어서는 첫째로 자원의 최적배분을 저해하고, 둘째로 무역을 왜곡시켜 국제무역에 악영향을 미치며, 셋째로 실질소득을 감소시키는 조치, 즉 세계 경제면에서는 국제 무역량을 감소시키고 세계후생수준을 저하
설명
☞ 정영희‧김조성, 「무역학 원론」,
순서
2. 수입 제한적 주요 비관세장벽
* 참고한 문헌 *
☞ 김종성, 「국제무역론 II」, 한국방송통신대학교
Ⅰ. 비관세 장벽의 의의
출판부, 1993
- 다양한 data(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국제무역에 있어서 국제수지의 균형 또는 자국의 취약한 산업을 보호 육성해야할 경우에 자유시장 원리가 아닌 보호무역주의 형태의 정책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고 되어 있으며, 볼드윈(R.E. Baldwin)은 비관세 장벽이란 government 또는 민간이 국제간에 거래되는 재화 및 용역 또는 이들 재화 및 용역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자원을 세계의 잠재적 실질소득이 감소되도록 배분하는 일체의 수단을 말한다고 정의(定義)하고 있고, 월터(Ingo Walter)는 비관세 장벽을 국제무역의 규모, 흐름 또는 상품 구성을 왜곡시키는 government 의 모든 정책과 관행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국제무역에 있어서 섣부른 보호무역은 무역 마찰을 일으키게 되어 그보다 더 많은 손실을 볼 수도 있따 그 방법으로는 수입금지를 한다던가, 관세를 통한 규제방법이 있으며, 비관세를 통한 수입규제를 할 수 있따 여기선 비관세장벽을 통한 무역정책에 대하여 고찰해 보기로 하자.
비관세장벽은 그 형태나 성격 그리고 그 영향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여 그에 대한 정확하고도 통일성 있는 정의(定義)를 내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여러 학자들도 자신들의 경제리론을 바탕으로 하여 각각 정의(定義)를 내리고 있따 먼저 경제학 사전 한국사전연구사의 「新經濟·經營學 辭典」 (1996. 7. 10) p.499 에 의하면 「관세 이외의 방법으로 government 가 국산품과 외국품을 차별하여 수입을 억제하려는 정책 일반. 전형적인 것은 수입수량 제한, 국내산업보호육성 정책, 수출에 대한 금융지원과 세제상의 감면세, 등 우대조치, 반덤핑 정책 등 government 의 국내산업 보호와 수출장려책의 수단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