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기]용주사에 관한 참고data(資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08:27
본문
Download : [답사기][용주사]에 관한.hwp
조각 수법이 뛰어난 고려시대 종의 걸작으로 꼽힌다.
순서
[답사기]용주사에 관한 참고data(資料)
설명
용통은 잔잔한 구슬 같은 연주무늬를 돌려서 여섯 단으로 구분하고, 고사리와 비슷한 당초문와 연꽃잎으로 장식하였다. 높이 1.44m, 입지름 0.87m, 무게 1.5톤이다.
Download : [답사기][용주사]에 관한.hwp( 92 )
다.
답사기 용주사 용주사대웅전 /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본문
답사기 용주사 용주사대웅전
답사기 용주사 용주사대웅전 / ()
1964 년 3월 30일 국보 제120호로 지정되었다. 종의 꼭대기에는 신라시대 종에서 보이는 용뉴와 용통(일명 음관)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용머리는 종 꼭대기의 보주를 물어서 두 발로 종 꼭대기 판을 딛고 전체를 들어올리는 형태를 하고 있다. 범종의 몸통에는 선녀의 의복자락 같은 것을 날리며 하늘로 올라가는 두 비천을 새기고, 또 왼쪽과 오른쪽에는 역시 의복을 날리며 책상다리로 앉아 머리에 둥근 빛대를 갖추고 두 손 모아 합장하는 세 부처상을 새겨놓았다. 용통에 조금 금이 가고 유두가 부서졌으나 그 외에는 보존 상태가 좋은 편이다. 드물게 보이는 거종이며 한국종의 양식을 가장 충실하게 갖춘 종이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고려 전기의 종으로 추정하고 있다.





몸체에 통일신라 문성왕 16년(854)에 조성되었다고 새긴 글이 있으나, 이 글은 후대에 새긴 것으로 종의 형태와 문양이 시대와 일치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