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트 식민주의와 새로운 인문학 `을 읽고쓰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23:02
본문
Download : ` 포스트 식민주의와 새로운 인문학 `을 읽고.hwp
독후감-포스트식민주의 , ` 포스트 식민주의와 새로운 인문학 `을 읽고서평서평감상 ,
서평감상/서평
,서평,서평감상
설명
`포스트콜로니얼`이란 용어에 대한 적당한 번역을 위해서 1989년에 영국에서 출판되어 탈식민주의의 입문서이자 필독서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제국의 되받아 쓰기 The Empire Writes Back}의 공동 저자인 빌 에쉬크로프트(Bill Ashcroft)가 이 용어를 정이한 것을 참고해보면, 그는 `포스트콜로니얼`이란 용어를 독립 전과 독립 후를 구별하기 위한 의미보다는, 식민지 시대부터 처음 해서 독립을 쟁취한 후인 현재에 이르기까지 제국주의적 과정이 피해를 본 모든 문화를 지칭하는데 사용하고 있따 그의 주장에 따르면 `post`란 접두사는 시간적으로 식민 시대 이후 라기 보다는 알게 모르게 effect(영향) 력을 행사하고 있는 식민주의로부터 벗어나려는 `대항anti-`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따 그렇다면, `탈식민` 보다는 `반식민`이란 용어가 보다 정확한 이해를 돕는 개념(槪念)이라고 볼 수 있을 듯하다. 과거의 식민 상황은 독립 이후 상당한 시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사라지지 않고, 정치적 행정적 구조는 폐지된 것처럼 보이지만, 제국주의의 하부구조인 경제적 의존과 통제는 그대로 남아 있을 뿐 아니라 사고와 의식의 형성에까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effect(영향) 력을 …(skip)



독서록 -포스트식민주의
순서
Download : ` 포스트 식민주의와 새로운 인문학 `을 읽고.hwp( 31 )
다.
` 포스트 식민주의와 새로운 인문학 `을 읽고쓰기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의 3장 `포스트 식민주의와 새로운 인문학` 부분에 대한 견해입니다.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의 3장 `포스트 식민주의와 새로운 인문학` 부분에 대한 견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