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고구려의 언어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3:03
본문
Download : 고구려의언.hwp
” 言語食飮居處衣服有似句驪.<후한서85-동옥저>
“(고구려는)… 동이족들이 서로 전하기를 부여의 별종인 까닭에 언어와 법제가 많이 같다고 한다.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또한 옥저에 대한 기록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찾을 수 있따
Ⅵ. 맺는 글 그러면 실제 reference(자료)를 통해 삼국의 언어를 서로 다른 개별 언어로 볼 수 있는지 검토해 보기로 하겠다.
고구려 고구려文化(culture) 고구려언어 고구려어학 / 『삼국사기』(강무학 교열) 청화출판사(1985)
『삼국유사』(최남선 교열) 삼중당(1946)
또한 당시의 언어상황을 기록으로 전하고 있는 china(중국) 사서들의 기사에서는 삼국의 언어가 방언 이상의 차이를 가지지 않았음을 증언하고 있따 먼저, 고구려에 대한 china(중국) 측 기록은 부여와 그 언어가 같았음을 증언한다. 이기문(1968)에서는 고구려말 76개 어휘 중 31개 어휘를 중세국어와 대응시키고 있으며, 박병채(1968)에서는 63개 어휘 중 41개의 어휘를 중세국어와 연관시켜 설명하고 있따 서로 중복되는 것을 빼고 두 분의 것을 모두 합하면 고구려말에 상대하여는 모두 93개 어휘가 지금까지 논의되었다고 볼 수 있따 한편 중세국어와 연관시킨 어휘 중에서 이기문님에게 없고 박병채님에게 있는 어휘는 18개이며, 두 분의 연구를 종합해 볼 때 고구려말 어휘는 93개 중 50개가 중세국어와 대응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금까지 논의된 셈이다.
『증수보주삼국사기』(조병순) 성암고서박물관(1984)
『이십오사 보편』『관자』『설원』『논형』『십삼경 주소』등의 원문입력파일(Internet) ()
『삼국사절요』아세아文化(culture) 사(1973) 영인본
설명
Ⅴ. 고구려말의 어휘와 특징
고구려 고구려문화 고구려언어 고구려어학 / 『삼국사기』(강무학 교열) 청화출판사(1985) 『삼국사기』(신호열 역해) 동서문화사(1978) 『증수보주삼국사기』(조병순) 성암고서박물관(1984) 『원문삼국사기』(이병도) 을유문화사(1993) 『삼국유사』(최남선 교열) 삼중당(1946) 『삼국사절요』아세아문화사(1973) 영인본 『이십오사 보편』『관자』『설원』『논형』『십삼경 주소』등의 원문입력파일(인터넷) ()
“그 언어는 고구려와 더불어 대부분 같고 때때로 약간 다르다.” 東夷舊語以爲夫餘別種, 言語諸事, 多與夫餘同.<삼국지30-고구려>





고구려의 언어에 대하여
고구려 고구려문화 고구려언어 고구려어학
Ⅱ. 고대국어 연구의 선결문제
『삼국사기』(신호열 역해) 동서文化(culture) 사(1978)
순서
Ⅰ. 머릿글
Ⅲ. 고구려말의 음운체계
“(동옥저는) 언어, 음식, 거처, 의복이 고구려와 비슷하다. 우선 이기문(1968)과 박병채(1968)에서 분석된 고구려말 어휘reference(자료)들에는 중세국어와 이어진다고 본 어휘가 각각 44%, 68%였다. 이는 오히려 삼국의 언어가 공히 중세국어에 이어지고 있다는 증거가 되며, 단일어라는 전제가 없이는 설명될 수 없는 사실이다.” 其言語與句麗大同, 時時小異.<삼국지30-옥저>
이로써 고구려와 부여의 언어가 같았음이 china(중국) 인의 눈에서도 확인된 바, 이것은 사실로 받아들여도 좋을 것이다.” 東夷相傳以爲夫餘別種, 故言語法則多同.<후한서85-고구려>
“언어와 여러 일들이 부여와 많이 같은데, 그 성질과 의복은 다른 데가 있따” 言語諸事, 多與夫餘同, 其性氣衣服有異.<양서54-고구려>(「남사」에도 같은 내용)
다.
『원문삼국사기』(이병도) 을유文化(culture) 사(1993)
Download : 고구려의언.hwp( 56 )
Ⅳ. 차자표기의 구체적 분석
“동이의 옛말에 부여의 별종이라 해서 언어와 여러 일들이 부여와 더불어 많이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