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D램 주도권 3년 내 잃을 수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22:40
본문
Download : 070530101221_.jpg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아이서플라이의 데릭 리도우 회장이 세계 D램 시장 주도권이 3년 이내에 타이완과 China업체로 넘어갈 것이라고 밝혀 주목된다.
순서





한국과 타이완·China 기업들의 D램 격차가 줄어들고 있는 것과 관련해 리도우 회장은 “D램 가격의 하락으로 한국 업체들은 출하량을 계속 줄이는 반면, 타이완·China 업체들은 계속 늘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說明)했다.
한국 D램 주도권 3년 내 잃을 수도
Download : 070530101221_.jpg( 89 )
데릭 리도우 회장은 29일 열린 서울디지털포럼 기조연설에서 “오는 2010년에 타이완과 China의 D램 생산능력이 한국을 추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 D램 주도권 3년 내 잃을 수도
심규호기자@전자신문, khsim@
한국 D램 주도권 3년 내 잃을 수도
리도우 회장은 “생산량을 기준으로 볼 때 올해 한국 기업들의 D램 시장점(長點)유율은 47%, 타이완·China 업체들은 31% 정도로 예상되며, 2008년에는 한국이 46%로 1% 포인트 하락하는 반면, 타이완·China 업체들은 35%로 4% 포인트나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설명
레포트 > 기타
한국 D램 주도권 3년 내 잃을 수도
다.
리도우 회장은 “엘피다나 키몬다와 같은 기타 지역의 D램 제조사들은 타이완·China과 파트너십을 맺음으로써 비싼 생산시설에 투자하는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제품의 성능과 시장점(長點)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오랫동안 세계 D램 시장을 지배해 온 한국의 반도체 회사들이 D램 생산의 주도권을 3년 안에 외국의 경쟁사들에 내어줄 위기에 처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국내 반도체업계 고위관계자는 “금액기준으로는 한국이 45%를 점유하고 있는 반면 타이완·China은 17%에 불과하다”며 “한국이 기술력에서 타이완·China과 큰 차이를 보이며 고부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 위기론이 대두될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