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심, 실제 선거결과에 어떻게 影響(영향)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21:39
본문
Download : 071218105406_.jpg
순서
넷심, 실제 선거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박한우 교수는 “그동안 공개돼온 후보별 여론조사 추이와 키워드 검색결과가 비슷한 경향을 보여 흥미롭다”면서 “지난달 29일 이후로 모든 후보와 정당별 키워드 검색 건수가 증가하는 추세인데 선거일이 가까워질수록 인지도가 높아진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레포트 > 기타
17일 사회 네트워트 分析(분석)학자인 박한우 교수(영남대 언론정보학과)가 지난달 29일부터 16일 동안 3일 간격으로 월드와이드웹(www)에서 제17대 유력 대선 후보 및 관련 정당에 연결(링크)된 홈페이지 수를 分析(분석)한 결과 정당별로는 한나라당이 11만1000개로 대통합민주신당(4만6500개)보다 두 배 이상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넷심, 실제 선거결과에 어떻게 影響(영향)을
Download : 071218105406_.jpg( 95 )
후보별로는 정동영 3만5500개, 이명박 1만5300개, 이회창 565개 순이었다. 그만큼 적극적인 지지자 수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설명
제17대 대선을 앞두고 네티즌의 마음(넷심)은 정당으로는 ‘한나라당’, 후보로는 ‘정동영’에 머물고 있따





박 교수는 “인터넷에 족적(링크)을 남기는 사람은 여론조사에 응하는 유권자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적극적인데다 언론을 통한 여론 變化에도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다”고 덧붙였다. 즉 지난 14일 인터넷 포털 야후에서 ‘이명박’이라고 검색했을 때 웹 문서 4980만건이 떴고 △한나라당 2560만건 △정동영 2490만건 △이회창 2310만건 △대통합민주신당 708만건 순으로 집계됐다.
키워드 검색에서는 ‘이명박’이 단연 많았다. 이에 따라 넷심이 실제 투표에 어떤 influence(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박 교수가 집계한 여론조사 3위 내 정당과 후보별 홈페이지의 하위 웹페이지 수는 지난 11일 기준으로 △한나라당 1만7200개 △대통합민주신당 1만6400개 △정동영 9520개 △이명박 2510개 △이회창 11개 순이다. 하위 웹사이트가 곧 ‘정보’라는 점에서 각 정당과 후보별 on-line 네트워킹 戰略의 편차를 보여준다는 게 박 교수 설명이다. 이 같은 결과는 신당에 상대적으로 젊은 지지층이 많은데다 정 후보의 on-line 네트워킹 戰略이 강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박한우 교수는 “이명박 후보 측은 기본적으로 on-line 네트워킹 戰略을 쓰지 않고 정보 전달에 주력하는 경향”이라고 分析(분석)했다.
이회창 후보는 뒤늦게 대선에 뛰어든데다 on-line 戰略에 소원한 나머지 상대적으로 넷심을 유인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14일) 정동영, 이명박 후보 홈페이지에는 각각 1만2800개, 2770개로 11일까지의 變化(증가추세)가 제대로 반영됐다는 게 박 교수의 설명이다.
넷심, 실제 선거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다. 넷심, 실제 선거결과에 어떻게 影響(영향)을
이은용기자@전자신문, eylee@
이 같은 경향은 지난달 29일 처음 조사를 처음 한 이래로 꾸준히 유지되고 있따 다만 지난 14일 조사에서는 대통합민주신당과 한나라당 홈페이지의 하위 웹페이지 수가 갑자기 각각 3700개, 1570개로 떨어져 검색엔진 구동상의 이상을 재검증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